비즈니스 가치 극대화에 관심이 많은 개발자

안녕하세요, 임팩트 극대화와 비효율 제거를 하기 위해 노력하는 3년차 Software Engineer 정재민입니다.
저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분석하고, 효율성과 성과를 극대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집중하는 엔지니어입니다.
개발에 있어 중요한 것은 문제를 표면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고 근본적인 문제 원인을 제거, 잠재적 손실을 방지하여 서비스와 운영을 최적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생각에 기반하여 제가 가진 역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복적인 작업을 찾아 업무 자동화로 개선시키려는 노력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순간, 단순히 피로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이걸 더 효율적으로 할 방법이 없을까?"라는 질문을 먼저 던집니다. 수작업을 최소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찾아내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합니다. 이를 통해 단순 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더 중요한 문제 해결과 가치 있는 일에 몰입할 수 있도록 업무 환경을 개선합니다.

빠른 러닝 커브

익히지 않은 기술 지식이더라도 빠르고 압축적인 학습을 통해 프로덕션을 개발하여 팀의 빠른 가설 검증을 가능케 합니다.

팀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타인의 입장과 상황에서 타인의 생각과 선택의 이유를 공감하고 내 생각이 받아들여지는 것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상대방이 왜 그런 생각을 하는가에 대해 두번, 세번 고민하고 의견을 개진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료의 의견을 경청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료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때 작은 희열을 느낍니다.

안 된다고 하지 않고 목표 달성을 위한 대안을 찾는 자세

문제를 마주했을 때 단순히 "안 된다"고 결론 내리기보다,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고 대안을 찾아 해결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 방식이 어렵다면 새로운 접근 방식을 탐색하고, 필요하다면 새로운 기술을 학습하거나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목표를 달성할 방법을 모색합니다. 이러한 사고방식 덕분에 예기치 않은 장애물이 발생하더라도 해결책을 찾아내고, 팀이 나아갈 수 있도록 기여합니다.

모르는 거나 실수해도 부끄러워 하지 않는 마인드

항상 사람은 모르는 것이 있고 실수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모르는 것이 있으면 부끄러워 하지 않고 질문하여 나의 무지를 해결하려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인드를 동료들에게 심어주기도 합니다.

Personal Projects

  • 2024.05 ~2024.10

    개인 프로젝트

    허니팟

    만보기 기반 앱테크 앱

    React Native, Firebase(Firestore, FCM, Crashlytics, Authentication), Admob

    안드로이드 전용 걸음수 측정 Native Module 개발

    평균 월 수익: $180

    평균 리텐션 비율: 30%, DAU: +500

Work Experience

  • 23년.8월 ~ 현재

    공동 창업

    매치커넥션

    주요 업무

    세무법인 외주 개발

    홈택스 웹 스크래핑 및 세무사 어드민 페이지를 통한 신고 자동화 플랫폼

    NextJS, tanstack table, react-query, DnD kit을 활용한 어드민 페이지 개발

    외주 개발 프로젝트

    HARU - 일본 타깃 골드스푼 컨셉 데이팅 앱

    React Native 기반 5Mvs5M 데이팅 앱 풀스택 개발.

    실시간 voip 기능 및 채팅 기능 개발

    Serverless를 통한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앱 재화 결제 개발

    부동산 GPT 자사 서비스 웹 서비스 개발

    Next.js를 이용해 부동산 청약 데이터를 학습한 생성형 AI 클라이언트 사이드 개발

    Chat-GPT 폴더화 chrome extension 개발

    plasmo framework를 이용해 GPT 내에 질의 응답을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로 카테고리화 할 수 있도록 만드는 chrome extension

  • 23년.1월 ~ 현재

    수집품 및 금 조각 투자 플랫폼

    트레저러

    주요 업무

    모노레포 도입을 통해 Ciient ↔ Server 간 의사소통 비효율 제거, Batch Server, Production Server 공통 로직 package화를 통해 전체 backend code base 코드 10% 감소

    Yarn berry 도입을 통해 모노레포로 관리되는 프로젝트 의존성 관리 최적화

    Git 관리 규칙 설정을 통해 개발↔ 운영 cycle 비효율 제거

    Webview로만 이루어져 있는 앱 내에 신규 서비스 React Native로 전환하여 UX 최적화

    DB 클러스터 설정 개선을 통해 인프라 비용 최소화

    Sentry 및 cloud watch 세부 로그 및 태깅을 통해 에러 모니터링 고도화

  • 22년.08월 ~ 22년 11월

    Web3 기반 M2E 모바일 앱 서비스

    Gravity Labs, ltd.

    주요 업무

    EC2 기반의 ECS 컨테이너 WAS 구축

    Github Action을 활용한 배포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S3와 CloudFront, Route53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소개 Landing page 환경 구축

    각 컨테이너의 메모리 사용량과 CPU 사용량 개선을 통해 서비스의 고가용성 확보에 기여

    기존의 코드 개선을 통해 Batch job 속도를 30초 → 5초로 감소시켜 83% 성능 개선에 기여

    SQS → AWS Lambda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3D NFT 자동 렌더링 파이프라인 환경 구축

    디스코드 자동화 봇 개발을 통해 커뮤니티 팀 운영 효율화에 기여

    SaaS툴을 활용해 인터널 플랫폼 개발하여 커뮤니티 팀 운영 효율화 및 데이터 모니터링 환경 구축

    API Gateway 캐싱을 활용해 AWS Lambda 특정 API handler에 분당 200회 넘는 호출량을 감소하여 디비 부하 방지

  • 2021.10~2021.7월

    챌린지를 통한 습관 형성 웰니스 모바일 앱 서비스

    피트메디

    주요 업무

    추천인 쿠폰 시스템 도입을 통해 매월 전월 대비 referral registration KPI 100% 성장

    카드 결제 수단 Toss Payments migration, 결제 table migration을 통해 운영 효율성 및 미결제 건수를 월 평균 -27.62% 감소

    batch job server legacy code 개선을 통해 batch job 속도를 5초 → 1초로 감소시켜 앱 안정성 증대

    System console에 의존한 열악한 logging 시스템을 개선하여 Cloudwatch log를 통해 모든 개발진들이 log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communication cost 감소

    Read / Write DB 분리 작업을 통한 DB 부하 감소

    Server CPU 및 DB slow query, 결제 실패 알람(Slack alarm)을 도입 모니터링 강화

    각 도메인 unit test code 작성을 통한 code integration을 높이고 refactoring을 통해 code readability 증대

    Staging server 및 production server CI / CD pipe line 구축을 통한 Backend 배포 효율성 증대 기여